top of page

​언론보도

'제21회 한국 결정성장 콘테스트' 공동 개최

March 05, 2017

ADP(인산이수소암모늄)를 성장 결정으로 키워보는 '제21회 한국 결정성장 콘테스트'가 부산대학교ㆍ서울대학교ㆍ광주과학기술원 등 전국 유명 대학 공동주최로 열린다.


부산대학교 단결정은행연구소(소장 정세영ㆍ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교수)는 학생들과 일반인도 누구나 참가해 결정을 직접 키울 수 있는 '제21회 한국 결정성장 콘테스트'를 오는 25일부터 내년 1월 까지 10개월에 걸쳐 개최한다고 밝혔다.


참가 신청은 각 지역별 설명회 당일 현장에서 접수가 가능하며, 한국 결정성장 콘테스트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신청할 수 있다

환경호르몬 감지 인공 코 개발

March 07, 2017

부산대 나노과학기술대학 나노에너지공학과 오진우 교수와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김규정 교수 공동연구팀이 세포 특유의 호흡분비물을 감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인공 코'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인공 코'란, 특수한 향을 가지는 물질을 검출 가능한 시스템을 일컫는표현으로,이번에 개발한 인공 코는 특이한 향을 가지는 물질들을 검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번 논문은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영국왕립화학회에서 발행하는 화학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케미컬 사이언스> 최근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그래핀으로 밴드갭 형성' 전류 제어기술 개발

August 02, 2016

부산대 나노대학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정세영 교수와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 물리연구단 성균관대 이영희 교수 등이 참여한 공동연구팀이 단일 결정의 그래핀 두 장을 겹친 밴드갭 형성을 통한 전류 제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로 만들어진 원자 크기의 벌집 형태 구조를 가진 소재이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주관 신기술 융합형 성장 동력 사업과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렌즈 김서림 방지'등 초발수 원리발견

December 27, 2016

부산대 나노대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신보성,정명영 교수와 인지메카트로닉스공학과 대학원 김두인 교수, 조상욱 박사 등 연구진이 나노패턴을 통한 초발수표면에서의 액적의 움직임의 특성을 분석해 김 서림 방지와 초발수 극대화를 위한 최적의 패턴제작에 필요한 공정을 알아냈다고 26일 밝혔다.

 

물을 흡수하지 않고 튕겨내는 '초발수'표면은 다양한 산업에 응용된다고한다.

‘SPIE Photonics West’ 우수연구상 수상

February 08, 2017

인지메카트로닉스공학과 박사과정생인 송혜린(16학번, 사진) 씨가 최근 1월 31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광학분야 대표학회인 ‘SPIE Photonics West 2017’에서 ‘우수연구상’을 수상했다.(지도교수 김규정)

송혜린 씨는 금 나노입자를 통해 나노 단위의 크기를 다르게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플라즈모닉 현상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으로 연구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한편, 이 학회는 매년 2만여 명이 참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광학 학회로, 송혜린 씨는 2015년에 이어 두 번째 우수연구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다.

1·2차원 나노체 적용 획기적 신소재 합성 성공

January 25, 2017

나노에너지공학과 조채용 교수(사진)가 주도한 국제공동연구팀이 1·2차원(1D·2D) 하이브리드 나노구조체를 적용해 고안정성·고용량의 리튬이차전지 음극소재를 제조하고 작동원리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독일 연구진과 공동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에서 조채용 교수는 단독교신저자로 참여해 관련 연구결과를 국제적 권위의 학술지 『ACS Nano』(IF:13.334) 1월 24일자에 게재했다.


조채용 교수는 LIB 음극소재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대통령 표창(2005), 부산대 premier 교수상(2012) 등을 수상하고, NANOPIA 국제컨퍼런스(2015-2017) 사무총장을 맡고 있다.

양자링의 에너지 상태밀도 ‘준 1차원’ 규명

December 29, 2016

인지메카트로닉스공학과 대학원 김광석 교수팀의 연구원 김희대 박사와 박사과정 이우진(14학번) 씨, 석·박사통합과정 박성호(14학번) 씨가 양자링의 준 1차원 에너지 상태밀도를 실험적으로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사진 왼쪽부터 김희대 박사, 이우진·박성호 씨)


부산대 연구팀은 정밀 측정된 실제의 양자링의 폭과 구조를 기반으로 에너지에 따른 엑시톤의 상태밀도를 광학적으로 분석해 실제의 양자링의 경우 에너지 상태밀도가 2차원보다는 1차원에 좀 더 가까운 ‘준 1차원’ 구조라는 것을 밝혀냈으며, 관련 연구를 ‘싸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2017년 1월 5일자에 게재할 예정이다.

Please reload

© 2023 Wix로 제작된 본 홈페이지의 모든 권리는 부산대학교 나노과학기술대학에 귀속됩니다.

bottom of page